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지만지

지만지는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줄임말입니다.

1. 인류의 유산으로 남을 만한 지구촌 고전 총망라
지만지 고전 시리즈는 지구촌 고전을 출간한다.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100년 이상 읽혀 온 고전 가운데 앞으로 100년 동안 읽혀 갈 고전 중의 고전을 골랐다. 유럽과 중국의 고전은 물론, 한국, 일본, 아시아, 아프리카의 고전, 그리고 이슬람과 동유럽, 러시아와 남아메리카의 고전이 총망라된다. 주제의 구성에서도 문사철의 벽을 넘어 자연과학과 예술 분야의 고전을 빠뜨리지 않았으며 인간과 물질, 사회와 역사의 인식에 균형을 유지한다.

2. 출간 예정 3000종, 전문 필자 1300여 명, 전문 분야 8개
총 3600개의 지구촌 고전을 찾아냈다. 2008년 1월 첫 출간을 시작했다. 출간 5년 만에 1000종을 돌파하고 2015년 7월 현재 1600종을 출간했다. 30여 개 학문/장르, 30여 개 국가의 고전이 포함되었다. 소설, 시, 희곡, 수필/비평, 문집, 사상, 자연과학, 예술 등 8개 분야로 나누어 전문성을 심화한다.

3. 전문성과 독창성이 출판의 기준
‘고전’이라는 평가를 받은 책이라면 국내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더라도 출간한다. 이때의 판단 기준은 ‘시장성과 인지도’가 아닌 ‘전문성과 독창성’이다. 알려지지 않은 고전을 선별하는 것은 해당 학문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다. 그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고전’이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는 책을 찾아내고, 전문성을 가진 번역자를 추천한다.

4. 상식 고전의 굴레를 벗어난 참신하고 다양한 고전
한국과 중국, 영미와 유럽의 고전은 물론, 일본과 아시아, 아프리카의 고전, 그리고 이슬람과 동유럽, 러시아와 남아메리카까지 전 세계 고전이 대상이다. 기원전부터 현대까지 시대를 초월한 고전이 포함된다. 국내에 많이 알려져 반복적으로 출판되어 오던 유명 고전의 굴레를 벗어나 참신하고 다양한 고전을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책의 주제 또한 다양하다. 단순히 문사철에 그치지 않고, 과학, 기술, 디자인, 건축 등 모든 학문 분야의 책을 발굴 출판한다.

5. 원전에서 직접 번역
지금까지 21개 언어권에서 작품을 선정했고, 국내에 전공자가 있다면 언어의 수는 계속 늘어날 것이다. 전문 연구자들이 원전을 찾아 그 나라 말을 한국어로 직접 옮긴다. 국내에 전공자가 없어 고유 언어의 원전을 옮길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중역을 찾기 힘들다.

6. 전문가에 의한 전문가의 번역
지속적인 타이틀 확장을 통해 필자의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그들은 작가와 작품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논문을 쓰는 해박한 전문가들이다. 역자의 풍부한 주석이 대중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문화번역을 통해 원전의 의미를 더욱 생생하게 독자에게 전달한다. 친절하고 전문적인 해설이 고집스런 원전의 문을 활짝 열어 줄 것이다.

7. “지만지에 가면 다 있다”
꺼져 가는 우리 인문학의 불씨를 살리고 학생과 연구자, 일반 대중 독자까지도 인문학의 향연으로 끌어들일 것이다. “지만지에 가면 다 있는” 고전들은 인문학의 부흥을 이끌어 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출판할 곳이 없어 묵혀 두고 있던 전문 연구자들의 좋은 원고가 독자들과 조우하기 시작했다. 지만지의 목표는 지구촌 고전을 끊임없이 출간하는 것이다. 출판된 책이 많아질수록 지구촌 보편 지식을 향한 지식 지도는 더욱 정밀해질 것이다. 독자와 연구자들은 이 지도를 길잡이로 더욱 넓게, 더욱 멀리 지식탐구의 길을 열어 갈 것이다.

8. 단 하나뿐인 책, 지만지의 유일본들
듣도 보도 못한 고전들이 수두룩하다. 시장성이 없다는 이유로 출간되지 않아 독자들이 읽을 기회조차 갖지 못했던 책들이 처음으로 출간된다. ‘유일본’이라 이름 붙였다. 또 이미 출간된 타이틀 가운데서도 대중이 널리 찾지 않아 절판된 것을 살려낸다.

9. 원전에서 직접 발췌한 지만지 천줄읽기
두껍고 읽기 어려워 책장을 덮어 버리곤 했던 고전을 전문가가 발췌한다. 원전의 문장 그대로 가져온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고전 읽기를 제시한다. 발췌 읽기에서 완역 읽기로, 완역 읽기에서 원전 읽기로 독서의 수준이 높아진다.

10. 전문성과 독창성의 결실, 지구촌 희곡선집
국내 최대의 세계 희곡 선집이다. 팔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출간을 기피하던 희곡을 체계적으로 출간한다. 국가, 언어, 장르, 시대를 막론하고 전 세계 주요 희곡이 대상이다. 고전 작품은 물론 현대 작가의 중요 작품까지, 소위 선진국의 작품부터 제3세계 작품까지 포괄한다. 희곡 독자는 물론 연극인들에게 꼭 필요한 텍스트를 제공한다.

11. 한국 근현대문학 100년사를 총 정리하는 초판본 한국문학 시리즈
① <초판본 한국소설문학선집>과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 각 100종
한국문학평론가협회와 공동으로 기획했다. 한국문학 100년을 돌아보며 100명의 대표 소설가와 시인을 총 정리하는 국내 초유의 기획이다. 각각 100종씩 출간했다. 작가들의 대표 작품을 전문 평론가들이 선별해 전문 해설을 붙였다. 작품은 초판본 표기를 그대로 살린다. 대부분의 한국 근현대 작품들이 현대어로 손질되어 원전의 맛이 퇴색된 채 출간되고 있지만 지만지의 초판본들은 원전의 문학적 향기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② <한국동화문학선집>과 <한국동시문학선집> 각 100종
한국을 대표하는 아동문학 연구 단체인 한국아동문학연구센터와 공동 기획했다. 한국 아동문학 100년사의 총정리다. 아동서적의 출간이 봇물을 이루고 있지만, 우리나라 작가들의 작품을 문학사적으로 정리하는 기획물은 없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100명의 동화 동시 작가가 직접 가려 뽑은 대표작들로 구성되었다. 각각 100종씩 구성했다. 최초이자 최대 규모다.
③ <지만지한국희곡선집> 100종
한국 희곡 100년을 대표하는 국내 유일의 희곡 선집이다.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한국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희곡들이다. 문학사적 가치는 물론 연극사적 가치, 대본 기능까지 고려했다. 희곡 작가 57명의 대표작 112편을 엄선해 100종으로 출간했다. 출판 기회를 갖지 못해 극단이나 작가의 서랍에서 잠자고 있던 작품도 책으로 처음 출간했다.
④ <초판본 한국문학평론선집> 50종
한국의 근현대 평론을 대표하는 주요 비평가 50명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선집이다.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시리즈다. 한국문학의 학문적 발전을 꾀하는 한편 일반 독자에게 우리 비평의 우수성을 널리 알린다.
⑤ <한국수필문학선집> 50종
한국문학평론가협회와 공동 기획한다. 출간 예정.

수상 목록

200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정치경제 이론(The Theory of Political Economy)≫, 윌리엄 제번스(William S. Jevons) 지음, 김진방 옮김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동경대전(東經大全)≫, 최제우 지음, 박맹수 옮김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관료제(Bureaucracy)≫, 루트비히 폰 미제스(Ludwig von Mises) 지음, 황수연 옮김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편지(Correspondance)≫, 조르주 상드(George Sand) 지음, 이재희 옮김
2011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올해의 청소년 도서
≪연암 산문집(燕巖 散文集)≫, 박지원 지음, 박수밀 옮김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작자 미상, 김명준 옮김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빌헬름 엠리히(Wilhelm Emrich) 지음, 편영수 옮김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석명: 언어에 대한 글자 풀이(釋名: 釋言語)≫, 유희(劉熙) 지음, 하영삼 옮김
≪클러리사 할로(Clarissa Harlowe)≫, 새뮤얼 리처드슨(Samuel Richardson) 지음, 김성균 옮김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사실주의≫, 조한경 지음
2013년 유영번역상
≪클러리사 할로(Clarissa Harlowe)≫, 새뮤얼 리처드슨(Samuel Richardson) 지음, 김성균 옮김
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들≫, 김승룡 지음
≪박학한 무지(De docta ignorantia)≫, 니콜라우스 쿠자누스(Nicolaus Cusanus) 지음, 조규홍 옮김
≪산소와 그 경쟁자들≫, 김홍표 지음
≪치과 의사(Le Chirurgien Dentiste)≫, 피에르 포샤르(Pierre Fauchard) 지음, 조영수 외 옮김
2014년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 올해의 청소년 교양도서
≪네루다 시선(Antología de la poesía de Pablo Neruda)≫, 파블로 네루다(Pablo Neruda) 지음, 김현균 옮김
201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보이는 손 1≫, ≪보이는 손 2≫, 앨프리드 챈들러 (Alfred Chandler) 지음, 김두얼·신해경·임효정 옮김

내가 아는 지만지

“오래 전부터 이런 출간 작업을 꿈꾸어 왔는데 이제야 그 꿈을 펼 수 있게 되어 정말 반갑다.
-김상현(≪러시아 종교 사상사 1≫ 출간)

“지만지의 기획에 함께 참여하게 되어 무한히 기쁘고 영광스럽게 생각한다. 좋은 책 만들기 위한 기획팀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이희원(≪노란 화살 외≫, ≪차파예프와 푸스타타≫ 출간 예정)

“3000여 종의 고전 완역본이 총서로 모아진다면 우리나라 학계에서 대단한 의미를 갖게 되리라 여겨진다.”
-김장환(≪세설신어보≫, ≪신선전≫, ≪열이전≫, ≪세설신어 천줄읽기≫, ≪태평광기 천줄읽기≫, ≪제해기 / 속제해기≫, ≪고사전≫ 등 출간)

“놀라운 기획이다. 그리고 애써 볼 만한 훌륭한 기획이라고 생각한다. 과학사 전공자들에게도 참으로 필요한 일이다.”
-김기윤(≪진화와 윤리≫ 출간)

“이 기획은 대통령이 해야 하는 것이다.”
-김종회(≪이병주 작품집≫, ≪황순원 단편집≫, ≪박태원 중편집≫, ≪조병화 시선≫ 등 출간)

“이렇게 무모한 기획을 하다니! 덕분에 한국 희곡사가 한눈에 보인다. 내게도 학생들에게도 좋은 공부와 감동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지만지에서 출간한 세계 희곡에 한국 희곡 100권을 더하면 그야말로 전 세계 희곡을 총망라하는 셈이다. 읽고 싶고 읽어야 하는 희곡이 여기 다 있다.”
-조광화(≪남자충동: 주먹 쥔 아들들의 폭력 충동≫, ≪철안붓다≫ 출간)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금세기 한국 출판 산업의 쾌거이자 빛나는 업적이다. 우리나라 희곡 문학의 발전과 연극 예술의 글로벌적 창성을 기대한다.”
-노경식(≪달집≫, ≪정읍사≫, ≪하늘만큼 먼 나라≫ 출간)

“지만지희곡선집은 장차 우리 희곡 창작계에 큰 결실을 약속하는 귀한 씨앗이 되리라 믿는다. 희곡 읽기가 낯설어서 그런지 즐겨 읽는 학생들이 드물다. 무대를 상상하면서 인물을 불러들여 읽어 나가면 되는데 훈련이 잘 안 된다. 그런 친구들에게 자극이 될 것이다.”
-박상현(≪405호 아줌마는 참 착하시다≫ 출간)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연극이 아닌 희곡으로 100년사를 정리”하고 “학술적 가치와 연극적 성과를 동시에 정리한 요약본’이다. 여기에 선정된 것은 개인적으로 엄청난 영광이다.”
-최현묵(≪끽다거≫ 출간)

“한국 근대 희곡과 연극의 역사는 1912년 조중환의 <병자삼인>부터 시작된다. 그로부터 100년이 된 지금, 한국 근현대 연극사를 대표하는 작품의 선정과 출간은 매우 뜻깊고 중요한 작업이다. 한국 연극을 대표하는 이 작품들은 앞으로 학계, 연극계, 문학계에서 중요한 이정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유진월(≪불꽃의 여자 나혜석≫ 출간)

“개인적으로도 영예롭고 고마운 일이지만 우리 연극계에서 두고두고 감사할 대과업을 이루었다. 희곡은 공연계에서 널리 읽히면서 수시로 재공연되어 무대에서 생명을 얻는 장르다. 그런데 그렇게 출간한 희곡집이 도서관 구석에나 처박혀 있으니 너무 아쉽더라.”
-장성희(≪꿈속의 꿈≫ 출간)

“한국 아동문학 100년사에 처음 있는 일이다. 기념비적인 사업이다.”
-강정규(≪강정규 동화선집≫ 출간)

“지만지 동화문학선집은 어린 독자만이 아니라 동화 작가 지망생이나 연구가, 일반 성인 독자까지를 염두에 두었다. 한국 동화가 그만큼 발전했다는 방증이며 한 단계 더 발전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송재찬(≪송재찬 동화선집≫ 출간)

“우리 동화문학의 백과 구실을 할 것이다. 한국 동화문학을 든든히 떠받치는 주춧돌의 하나가 될 것이며, 동심을 살리는 문학으로 거듭나게 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김병규(≪김병규 동화선집≫ 출간)

“초창기부터 현대까지 우리 동화문학을 일괄 정리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그동안 많은 독자들이 애독했던 동화 작품들을 모음으로써 유실을 막고 보전하게 될 것이다. 시대를 초월해 감상할 수 있는 매우 가치 있는 자산이다.”
-장문식(≪장문식 동화선집≫ 출간)

“우리나라 문화예술계의 국책 사업과도 같은 방대한 작업이다. 범국가적, 범예술계적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이 사업을 단독으로 진행한다니 놀랍다. 그래서 더 귀하고 가치가 높다.”
-홍종의(≪홍종의 동화선집≫ 출간)

“한국 현대 동화의 연륜이 어언 100년인데,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매우 안타까웠다. 이 총서는 우리 현대 동화를 고전화하는 데 큰 기여를 하리라 생각한다. 특히 동화 연구자들에게는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조대현(≪조대현 동화선집≫ 출간)

주제로 찾기

지구촌고전
문학
사회
역사
예술
인문
자연
철학
한국문학
동시
동화
문학평론
수필
소설
시
육필시
첫시집
희곡
기타

상세주제로 보기

태그

2인극 5·4 문학운동 47그룹 68운동 68혁명 2019월드2인극페스티벌 SDS 가곡 가루이자와문학 가부장제도 가정교육 강아지 강아지그림 강아지명화 개 개명화 개정판 경제학 계층 갈등 고대서사시 고수전쟁 고전소설 고전시 공개서한 공연 과학사 과학철학 곽복록 교양철학 교유시 교육연극 교육학 군담소설 군사학 그래픽시 그리스 그리스비극 그리스희곡 그리스희극 근현대소설 기독교 기록문학 나는 고야 나병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소설 나이지리아희곡 낭만주의 네덜란드 네덜란드교육학 노르웨이 노르웨이소설 노르웨이희곡 노벨문학상 노자사상 논리학 뉴요커 니논 헤세 다중 운율시 대만 대만시 대만희곡 대하소설 데미안 도덕경 독일 독일. 수필비평 독일고전 독일문학 독일문학사 독일비평 독일서사시 독일 소설 독일소설 독일수필 독일수필비평 독일시 독일연극이론 독일자연과학 독일철학 독일희곡 동독 동독작가동맹 동부전선 동양사 동양철학 동유럽 러시아 러시아경제학 러시아소설 러시아수필 러시아시 러시아역사 러시아종교학 러시아 현대 문학 러시아 현대시 러시아희곡 로마사 루마니아 루마니아소설 루마니아희곡 루소 리베르티나주 리온 포이히트방거 마르크스주의비평 마리 아우구스테 마리오베네데티 막부 말기 막심_고리키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화인소설 메이지 유신 멕시코 멕시코소설 명나라시 몽유병자들 무용 무용사 문집 문학사 문학에세이 물리학 뮐러 미국 미국소설 미국수필 미국시 미국희곡 미국 희곡 미완 미학 민속학 민중 박준용번역희곡선 반려견 반성 반전문학 반파시즘 발레 백과사전 백사선생 백화 백화문학 백화시 베네데티 베니토 페레스 갈도스 베트남 베트남수필 베트남시 벨기에 벨기에희곡 벨라 아흐마둘리나 보존지구 볼셰비키_혁명 부르주아 혁명 북아시아 북아시아설화 불교 뷔르템베르크공국 브레히트 비극 비 이야기 비트족 비평 비평; 독일문학 사 사계파 사랑 사상 사상; 종교학 사실문학 사실주의 소설 사이코드라마 사지원 사회 사회비판 사회비평 사회주의독일학생연맹 사회학 산문 산문시 산수시 생명의초야 생물학 생태주의 서간문 서사시 서양사 서양철학 서울연극제 서울연극제희곡집 서정시 선언 설화 성기시 세르게이 도블라토프 세르비아 세르비아소설 세르비아희곡 소비에트 문학 소비에트 체호프 소설 소설; 헝가리; 헝가리소설 소페인소설 쇼팽 수나라 수양제 수용소 수필 수필비평 수학 스웨덴 스웨덴희곡 스위스 스위스희곡 스페인 스페인 소설 스페인소설 스페인시 스페인 왕정복고 스페인희곡 시 시각시 시 낭송 시카라바파 시화집 신문학운동 신성로마제국 신춘문예 실존주의 실험시 심리학 아나 제거스 아랍 아랍소설 아리시마 다케오 아메리칸인디언 아방가르드 시인 아일랜드 아일랜드;희곡;아일랜드희곡 아일랜드희곡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시 아프리카 산문 문학 아프리카 소설 아프리카역사 애완견 액자 소설 앤솔러지 언론자유 언어학 에밀 에세이 여성 여행 가방 역사 역사소설 연극 연극교육 연극이론 연극이론;프랑스;프랑스연극이론 염상섭 영국 영국고전르네상스 영국소설 영국시 영국철학 영국희곡 영국 희곡 영물시 영미 영미문학 영미시 영사시 영웅소설 영회시 예술 예술비평 예술사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소설 오스트리아희곡 오용록 오한 완역 외국 여자 요제프 쥐스 오펜하이머 우루과이 우루과이문학 우루과이시 우베 팀 원서발췌 원자폭탄 원폭문학 월드2인극페스티벌 유가 유고 유대인 유럽 역사 유럽역사 유작 유태인 수용소 유프레이즈 케질라하비 육필시집 율곡이이 은일시 의무토론 의학 이야기 이인웅 이탈리아 이탈리아희곡 이학가 인도 인도수필 인류학 인문 일기 일본 일본, 시, 일본시 일본경제학 일본근대문학 일본 근대문학 일본근대시 일본문학 일본소설 일본수필 일본수필비평 일본시 일본역사 일본자연과학 일본희곡 자연과학 전기 전생원 전원시 전위시 전위파 전쟁 전쟁문학 정치학 제1차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제국주의 조지아 조지아시 존왕양이 종교 종교; 불교 종교학 좌익운동 중국 중국문집 중국문학 중국비평 중국사 중국사상 중국산문 중국소설 중국수필 중국수필비평 중국시 중국역사 중국전기 중국철학 중국 최초 현대시 중국현대수필 중국희곡 중세철학 중유럽 지리학 지만지 지만지드라마 지만지드라마;희곡;그리스;그리스희곡;그리스비극 지만지드라마;희곡;그리스희곡;그리스비극 지만지드라마; 희곡; 독일; 독일희곡 지만지드라마; 희곡; 미국; 미국희곡 지만지드라마;희곡;스페인;스페인희곡 지만지드라마;희곡;아일랜드;아일랜드희곡 지만지드라마;희곡;영국;영국희곡;영국고전르네상스 지만지드라마; 희곡; 이탈리아; 이탈리아희곡 지만지드라마;희곡;프랑스;프랑스희곡 지만지드라마; 희곡; 한국희곡; 2인극 지만지드라마;희곡;한국희곡;2인극 지만지드라마이론 지만지드람 지만지한국희곡선집 지역고전학총서 진헌장 참전 천문학 철학 철학적인간학 청소년임신 체코 체코소설 체코시 초판본 초판본 한국 근현대소설선집 초판본 한국소설문학선집 초판본한국소설문학선집 초판본한국시문학선집 추억 칠레 칠레소설 칠레시 침묵 카를 알렉산더 공작 카인의 후예 캐나다 캐나다소설 캐나다희곡 케냐 케냐수필 코메디아델라르테 코페르니쿠스 콜롬비아 콜롬비아소설 콩트 퀘벡 퀘벡소설 퀘벡시 퀘벡희곡 퀴리 부인 타이완 타이완소설 탄자니아 탄자니아 소설 탄자니아소설 태국 태국시 태어나려는 고뇌 태평양전쟁 테어도어 슈토름 토론 틀 소설 파인할스 페다고그 페다고지 평론 폴란드 폴란드소설 폴란드시 폴란드희곡 폴커브라운 표현주의드라마 퓰리처상 프랑스 프랑스;소설;프랑스소설;철학콩트 프랑스;희곡;프랑스희곡;2인극 프랑스경제학 프랑스문학 프랑스소설 프랑스수필 프랑스수필비평 프랑스시 프랑스철학 프랑스희곡 필기문헌 하인리히 뵐 한국 한국;희곡;한국희곡 한국고전소설 한국근현대소설 한국근현대소설; 한국소설; 한국; 소설; 초판본 한국동시문학선집 한국동시선집 한국동화문학선집 한국문집 한국문학 한국문학선집 한국문학평론선집 한국사 한국사상 한국산문 한국소설 한국소설문학선집 한국수필 한국수필비평 한국수필선집 한국시 한국역사 한국평론 한국희곡 한센문학 한센병 헝가리 헝가리소설 헝가리시 헤르만헤세 헤르만 헤세 현실풍자 호걸전 혼전임신 혼합시 홍계희 홍콩 홍콩소설 홍콩시 환경 황야의 이리 회상 회화 희곡 희극 히로시마 히피족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성북동1가 35-38)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가기
    • 주제로찾기
      • PR
      • 광고
      • 뉴미디어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문화콘텐츠
      • 미디어산업과정책
      • 미디어론
      • 방송/영상
      • 스피치와작문
      • 영화
      • 저널리즘
      • 정기간행물
      • 커뮤니케이션학
      • 한국어
    • 컴북스는?
    • 지만지가기
    • 주제로찾기
    •    지구촌고전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한국문학
      • 동시
      • 동화
      • 문학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희곡
    •    기타
    • 상세주제로보기
    • 청소년특선
      • 청년고전247(모바일)
      • 청년고전247(PC)
    • 태그
    • 지만지는?
    • 학이시습가기
    • 주제로찾기
    •    HRD
    •    공교육개혁과대안
    •    교수학습방법
    •    문해학습과실천
    •    이론&역사연구
    •    일상에서배우기
    •    진로설계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학이시습은?
    • 지식공작소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지식공작소는?
    • 노마
    •    노마는?
    • 기획시리즈
    • 오디오북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세계 환상문학 걸작선
      •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 한국동화 문학선집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 지만지 한국희곡 선집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
    • 자료실
    • 컴북스닷컴
    •    저자
    •    철학
    •    혁신
    •    편집
    •    디자인
    • 튜토리얼영상
    •    열람서비스
    •    컴북스캐시충전
    •    리딩패킷
    • 도서관의친구
    • 도서관을위한강연
    • 도서관을위한도서목록
    • 사서를위한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