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
이 책은 모두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기획의 기초에 대해 설명한다. 2장에서는 기획의 출발점으로 ‘고민’과 ‘정보에 대한 민감성’을 제시하며, 현직 프로듀서들과 기자들이 직접 쓴 기획서와 제작후기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획의 출발점을 소개한다. 그리고 제작현장이 기획하기에 가장 좋은 곳임을 알려준다. 3장에서는 ‘제작 전 단계’에서 쓰는 기획서와 ‘제작 후 단계’에서 쓰는 기획서를 중심으로 기획서 작성법을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4장 부록에서는 프로듀서들이 직접 쓴 기획서를 사례로 제시한다.
현직 프로듀서들의 기획서와 제작후기를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1장에서는 기획의 기초, 2장에서는 기획의 출발점으로 ‘고민’과 ‘정보에 대한 민감성’을 말한다. 3장에서는 ‘제작 전 단계’에서 쓰는 기획서와 ‘제작 후 단계’에서 쓰는 기획서를 중심으로 기획서 작성법을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4장 부록에서는 프로듀서들이 직접 쓴 기획서를 사례로 제시한다.
박원달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언론학과 석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수료했다. 2001 방송위원회 대상 수상했다. 2006년 현재 TBC 대구방송 편성제작국 FM팀 프로듀서로 활동중이다.
머리말
1 기획의 기초
방송은 기획에서 출발한다
사는 것이 기획이다
기획의 기초, 그것이 알고 싶다
기획을 잘하는 세 가지 방법
2 기획의 출발점
기획의 출발점은 '고민'과 '정보에 대한 민감성'이다
기획의 출발점은 다양하다
제작현장, 기획하기에 가장 좋은 곳이다
특집에서 또 다른 특집이 나온다
코너에서 정규 프로그램과 특집이 나온다
3 기획서 작성법
기획서, 이렇게 쓰면 된다
기획의도 작성 방법
방송내용 작성 방법
기획서는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해 쓴다
'제작 전 단계'에서 쓰는 기획서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제작 후 단계'에서 쓰는 기획서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4 부록
MBC <HD뮤직다큐 하루> 기획안
KBS- 대하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기획안
CBS <오숙희, 변상욱의 행복한 세상 - 겨울맞이 특별기획 2004 한국의 사회 안전망> 기획안
PSB 창사 10주년 특별기획 30부작 <신어부사시사> 기획안
KBS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마음> 기획안
특별기획 HD 다큐멘터리 6부작 <마음>(2차 기획안)
TBC <라디오 뮤지컬 자유학교> 기획안
참고문헌